어르신 교통비 지원제도|대전·대구·광주·강릉·세종 지역별 혜택 총정리
전국 각 지자체에서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위한 교통비 지원제도를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대전, 대구, 광주, 강릉, 세종 지역의 교통 혜택을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.
🚇 ① 대전광역시
- 지하철 혜택: 만 65세 이상 대전 시민, 도시철도 1호선 무임
- 교통카드: 경로우대 무임카드 발급 필요
- 신청처: 주민센터에서 발급 신청 (신분증, 증명사진 필요)
- 버스 혜택: 현재 시내버스는 유료이나, K-패스 이용 시 월 최대 45,000원 환급
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🚍 ② 대구광역시
- 지하철 혜택: 대구도시철도 1·2·3호선 무임 탑승 가능
- 버스 혜택: 시내버스도 무임 이용 가능 (만 65세 이상)
- 이용 방식: 경로우대 교통카드 사용 → 지하철·버스 단말기 태그
- 발급처: 주소지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
- 특징: 지하철과 버스 모두 무상 이용 가능해 고령층 만족도 높음
🚉 ③ 광주광역시
- 지하철 혜택: 도시철도 1호선 무임 이용 가능 (65세 이상)
- 버스 혜택: 일정 조건 충족 시 교통비 환급 (최대 월 3만 원까지)
- 환급 조건: 월 30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→ 광주페이 또는 지역화폐로 환급
- 신청 방법: 선불형 교통카드 등록 + 시청 공식 홈페이지 환급 신청
🚏 ④ 강원도 강릉시
- 버스 혜택: 2025년 7월부터 만 70세 이상 시내버스 전면 무임
- 지하철: 해당 없음 (지하철 미개통 지역)
- 대상: 강릉시에 주민등록을 둔 70세 이상 어르신
- 카드 발급: 무임용 교통카드 별도 발급 예정 (시청 공지 확인 필요)
- 특이사항: 노인층 교통복지를 위해 조례로 확정된 전국 최초 사례 중 하나
🚖 ⑤ 세종특별자치시
- 지하철: 해당 없음 (지하철 미개통 지역)
- 버스 혜택: 시내버스 전 노선 무료 탑승 가능 (만 65세 이상)
- 추가 혜택: ‘100원 택시’ 제도 운영 – 버스 이용 불편 지역 대상 저렴한 요금으로 택시 이용
- 이용 방법: 경로우대 교통카드 발급 후, 지정 구역 내에서 100원 택시 예약 후 이용
- 문의처: 세종시 교통과 또는 각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🔍 요약 정리
지역 | 지하철 | 버스 | 기타 지원 |
---|---|---|---|
대전 | 무임 (1호선) | 유료 (K-패스 환급) | - |
대구 | 무임 (1~3호선) | 무임 | - |
광주 | 무임 | 환급 (월 30회 이상) | 광주페이 환급 |
강릉 | 해당 없음 | 무임 (2025년 7월부터) | 조례로 확정 |
세종 | 해당 없음 | 무임 | 100원 택시 운영 |
💬 정리 TIP
각 지역별 혜택은 해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, 최신 정보는 거주지 주민센터 또는 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