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역별 65세이상 교통카드 알아보기,서울,부산,경기지역 확인해 보세요.





① 서울특별시

  • 지원 내용 : 지하철(수도권 도시철도 전 노선) 무임
    └ 대상 · 만 65세 이상 서울시민
    └ 사용 · ‘경로우대용 교통카드’ 단말기 태그 후 무료 통과
  • 발급 장소 : 거주지 동주민센터 → 신분증 + 증명사진 필요
  • 버스 요금 : 아직 유료(할인·무상 미시행)입니다. 버스 무임은 정책 검토 단계에 머물러 있으니 참고하세요.
  • 추가 팁 : 동주민센터에서 체크·신용 기능 결합형 경로카드를 신청하면 편의점·병원 결제 시도 한 장으로 가능.
지역별 65세이상 교통카드 알아보기,서울,부산,경기지역 확인해 보세요.


② 부산광역시
  • 지원 내용 : 도시철도·경전철 무임 (65세 이상)​
    복지교통카드 발급 시 플랫폼 게이트 자동 개방
  • 버스 요금 : 현재는 선불 충전 후 이용 – 무상 도입은 논의 중. 대신 동백패스 + K-패스로 월 최대 45,000 원 캐시백 가능
  • 발급·신청 : 부산은행 각 지점 또는 구·군 주민복지과(신분증 + 사진)
  • 교통카드 분실 시 : 부산은행 ☎ 1588-6200 분실 신고 & 재발급 가능 (수수료 1,000 원)
지역별 65세이상 교통카드 알아보기,서울,부산,경기지역 확인해 보세요.



③ 경기도

  • 지원 내용 : 수도권 전철‧지하철 무임 (만 65세 이상)  +  시·군별 버스 요금 환급
  • 주요 카드 : G-PASS 우대용 교통카드 (경기도청 무료 발급)
  • 버스 환급 (13개 시·군)
    ▼ 환급 시행 시·군 목록 펼치기
    • 포천·연천·안성·평택  –  분기당 60,000 원 환급
    • 성남·안양·군포·의왕  –  월 10,000 원 (연 120,000 원 한도)
    • 남양주·구리·하남·여주  –  월 이용금액 100% 환급 (연 24만 원 한도)

    ※ 사용한 버스·마을버스 요금이 익월 또는 분기 말 지역화폐로 돌려받는 방식입니다.

  • 신청 절차 : 주민센터 → 우대카드 발급  → 시·군 노인 교통비 지원 플랫폼(또는 앱)에서 카드 등록  → 분기별 자동 환급
어르신 교통 지원제도 알아보기
위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


지역별 65세이상 교통카드 알아보기,서울,부산,경기지역 확인해 보세요.




🔎 그 밖의 주목할 지자체

  • 광주광역시 : 월 30회 이상 이용 시 최대 30,000 원 환급형 지원
  • 세종특별자치시 : ‘100 원 택시’ + 시내버스 무임 (65세 이상, 마을·농촌권)
  • 강원 강릉시 : 70세 이상 시내버스 전면 무료 조례 확정(2025. 7 시행)

✔️ 팁 하나 더주소지 이동 예정이라면?
지자체별 혜택은 주민등록 기준이므로, 이사 계획이 있다면 새 주소지에서 카드를 새로 발급해야 동일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